본문 바로가기

역사/한국사

[절기] 24절기의 뜻, 유래, 역사 알아보기

절기란?

     절기는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에 따라 24등분한 기후의 표준점입니다.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에 지나는 점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하며, 계절을 세분하여 대략 15일 간격으로 나타낸 달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 - 절기
24절기

 

     24절기는 12절(節)기와 12중(中)기로 나누는데, 홀수 번째 절기인 절기는 한 달 중 매월 4-8일 사이에 오고, 짝수 번째 절기인 중기는 19-23일 사이에 옵니다. 중기는 음력 열두 달의 이름을 정하는 절기인데 음력의 달에서 24절기의 중기가 빠진 달이 생기면 이 달을 윤달로 쳐서 양력과 음력의 차이를 보완합니다.

    황경이 0°일 때를 춘분(春分)으로 하여 매 15°마다 새로운 절기로 구분합니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夏至), 180°인 날이 추분(秋分), 270°인 날이 동지(冬至)이며, 춘분에서 하지 사이를 , 하지에서 추분 사이를 여름, 추분에서 동지사이를 가을, 동지에서 춘분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계절은 입춘(立春)•입하(立夏)•입추(立秋)•입동(立冬)의 4립(四立)의 날에서 시작됩니다.

 

 

역사

     중국의 황하 유역에서 유래된 절기는 이 지역의 계절, 천문학 및 기타 자연 현상의 관찰을 통해 개발되었고 전국적으로 점진적으로 적용되어왔습니다. 또한 동아시아 문화권 국가인 한국, 베트남, 일본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북중국 평야의 기후 계절 변화에 따라 각 용어에 이름을 붙였지만, 다른 기후에 사는 사람들은 여전히 변화 없이 24절기를 사용합니다. 

     태음력은 달의 모양을 통하여 날짜를 바로 알기는 쉬웠지만 계절에 따른 날씨 변화를 쉽게 체감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농경사회였던 동아시아권에서는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고, 계절의 변화를 쉽게 체감할 수 있도록 양력의 요소인 황도에 기준한 절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마도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것으로 추정됩니다.

     계절을 나타내는 좋은 표시가 되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달력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동양에서는 사계절이 입춘•입하•입추•입동부터 시작된다고 보고, 봄의 한가운데를 춘분(春分), 여름의 한가운데를 하지(夏至), 가을의 한가운데를 추분(秋分), 겨울의 한가운데를 동지(冬至)로 정함으로써 사계절의 구분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서양에서는 춘분과 추분의 두 분(分), 하지와 동지의 두 지점(至點)을 경계로 하여 사계절을 나누고 있습니다.

 

 

 

 

특징 및 의의

     24절기는 매달있는 절기와 중기를 통해 계절을 특성일 알 수 있습니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의 기준이 되는 대단히 중요한 날이었기 때문에 24절기에 맞추어 농사가 행하여졌습니다.

     24절기는 중국 화북지방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후와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았습니다. 이는 '대한(大寒)이 소한(小寒) 집에 놀러 왔다가 얼어죽었다.'는 우리 속담에서 엿볼 수 있는데, 대한 때보다 소한 때가 더 춥다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실제 날씨도 그러합니다. 그래서 '추운 소한은 있어도 추운 대한은 없다.'라는 속담이 생기기도 하였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세종대왕 때에 ⌜농사직설⌟ 등의 책을 편찬하게 됩니다. 

     24절기 가운데는 동지처럼 큰 세시 명절도 있고, 입춘이나 곡우처럼 절일의 의미를 지니는 날도 있습니다. 그리고 계졀을 가늠하는 기준으로 농경에 활용되기도 하여 명절에 버금가는 날로 의의가 있습니다. 

 

 

 

 

24절기

 

음력월 계절 황경 24절기 날짜 2024년 날짜
1월 315° 입춘(立春) 2월 4일경 2월 4일
330° 우수(雨水) 2월 19일경 2월 19일
2월 345° 경칩(驚蟄) 3월 6일경 3월 5일
춘분(春分) 3월 21일경 3월 20일
3월 15° 청명(淸明) 4월 5일경 4월 4일
30° 곡우(穀雨) 4월 20일경 4월 19일
4월 여름 45° 입하(立夏) 5월 6일경 5월 5일
60° 소만(小滿) 5월 21일경 5월 20일
5월 75° 망종(芒種) 6월 6일경 6월 5일
90° 하지(夏至) 6월 21일경 6월 21일
6월 105° 소서(小暑) 7월 7일경 7월 6일
120° 대서(大暑) 7월 23일경 7월 22일
7월 가을 135° 입추(立秋) 8월 8일경 8월 7일
150° 처서(處暑) 8월 23일경 8월 22일
8월 165° 백로(白露) 9월 8일경 9월 7일
180° 추분(秋分) 9월 23일경 9월 22일
9월 195° 한로(寒露) 10월 8일경 10월 8일
210° 상강(霜降) 10월 23일경 10월 23일
10월 겨울 225° 입동(立冬) 11월 7일경 11월 7일
240° 소설(小雪) 11월 22일경 11월 22일
11월 255° 대설(大雪) 12월 7일경 12월 7일
270° 동지(冬至) 12월 22일경 12월 21일
12월 285° 소한(小寒) 1월 6일경 1월 5일
300° 대한(大寒) 1월 21일경 1월 20일

 

 

 

 

기타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는 없습니다. 

 절기는 날씨와 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 등)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닙니다. 절기의 이름과 그에 대한 설명은 중국 주나라(기원전 1046~256)때 화북 지방의 날씨에 맞춰 지었기 때문이고, 조선시대에도 이 사실을 알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도 했었습니다. 절기는 계절 변화의 시기를 가늠할 때 참고할 지표일 뿐, 절대적인 구분 기준으로 삼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4절기라고 공휴일은 아니지만, 일본은 춘분과 추분을, 중화권은 청명을 공휴일로 삼고 있습니다. 

 2016년 12월 1일, 24절기는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24절기 표
24절기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