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한국사

[24절기] 춘분 _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

춘분(春分)

     춘분(春分)은 24 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3월의 절기입니다. 태양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는, 태양의 황경이 0°에 드는 때입니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로, 이 날 이후부터 하루 중 낮의 길이가 밤의 길이보다 길어집니다. 양력으로 대개 3월 20일~21일경인데 올해는 3월 20일입니다. 

 

썸네일 춘분
춘분

 

기후

     봄기운이 이미 가운데로 들어선 때로 추위가 물러가고 더위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음력 3월 3일 삼짇날 전후의 절기로 월동을 위해 강남으로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옵니다. 

     음력 2월 중에는 바람이 많이 부는데 이는 풍신(風神)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 하기 때문이라 해서 '꽃샘'이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춘분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는 속담이 생겨났습니다.

 

 

 

 

풍속

     이 무렵에 농촌에서는 봄보리를 갈고, 봄기운이 듬뿍 들어있는 들나물을 무치거나 국을 끓여 먹습니다.

     조상들은 '나이떡 먹는 날'이라 부르며 가족이 모여서 송편과 비슷한 '나이떡을 먹었는데, 아이들은 작게 빚고 어른들은 크게 빚어 각각 자신의 나이만큼 먹었다고 합니다.

     집마다 봄나물과 콩을 볶아 먹었는데, 콩을 볶으면 쥐와 새가 사라져 곡식을 먹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춘분의 날씨를 보고 한 해 농사를 예측하기도 했는데, 해가 뜰 때 동쪽에 푸른 구름이 있으며 보리 풍년이 들고, 날이 맑고 구름이 없으면 만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한다고 보았습니다. 춘분에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는 것이 농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서양에서는 대체로 춘분 이후부터를 봄으로 보며,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계산의 기준점이 되는 중요한 날입니다.

     일본에서는 24절기 중 춘분과 추분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중앙아시아, 이란, 쿠르드, 아제르바이잔의 페르시아 문화권에서는 노루즈(Nowruz)라고 하여 페르시아력의 새해로 보는 날이며, 동아시아의 설날과 위상이 비슷합니다. 

 

 

 

 

 

 

 

24절기표
24절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