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280)
[동아시아사] 서민 문화의 성장 서민 문화의 성장   명・청 대 서민 문화     명·청 대 재력을 지닌 상공인층이 성장하면서 서민 문화가 발전하였다. 도시의 경제력이 향상되면서 유흥과 오락이 활성화되고 도시는 문화 활동이 벌어지는 공간이 되었다. 특히 도시 인구의 증가는 다양한 문화의 소비층을 확대하였다.     서민층의 흥미를 자극한 통속 소설이 유행하여 명 대에는 『수호전』, 『삼국지연의』, 『서유기』, 『금병매』가 널리 읽혔다. 청 대에도 애정 소설이라 할 수 있는 『홍루몽』이나 관료 사회를 풍자한 『유림외사』 등의 소설이 출간되었다. 이러한 소설의 유행은 지식인이 민간 문학에 참여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긴 서민의 문화적 욕구가 늘어난 것에 기인하지만, 당시 인쇄술과 출판업의 발달도 배경이 되었다. 도시에서는 상업적 출판사들이..
[동아시아사] 상업의 발달과 도시의 성장 상업의 발달과 도시의 성장   상업과 수공업의 발달     명·청 대에는 민영 수공업이 더욱 발전하였다. 강남 각 지역의 도시와 농촌에서 견직물, 면직물, 제철, 도자기 등의 수공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특히 강남의 쑤저우, 항저우, 난징, 징더전 등지에서 도시 수공업이 발달하였는데 쑤저우의 견직물과 징더전의 도자기는 매우 유명하였다.     민영 수공업의 발전과 함께 은의 대량 유입, 운하와 각지로 연결된 도로 등을 통해 상업도 번성하였다.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해 각 지역에서 조달되는 물품 교역으로 상품 유통망은 더욱 확산되었다.     조선에서도 농촌 경제의 성장, 수공업의 발전을 통해 상업이 발달하였다. 연해 지역과 육상의 교통망이 정비되면서 교통의 요지와 포구에 물자가 집결되었고, 전국적으로..
[동아시아사] 농업의 발달과 인구 증가 농업의 발달과 인구 증가   농업 생산력의 발전     17세기 이후 동아시아 각 지역에서 곡물의 품종 개량, 수리 시설 정비, 시비법, 모내기법을 비롯한 농업 기술이 발달하였다. 또한 집약 농법의 확대와 개간에 따른 경지 면적의 증가로 곡물 생산량이 늘어났다.      명 대에는 ‘창장강 유역의 후광 지역에 풍년이 들면 천하가 풍족하다.’라는 말처럼 후난과 후베이성 지역이, 청 대에는 쓰촨성 지역이 곡창 지대가 되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된 쌀은 창장강과 운하를 통해 전국으로 유통되었다. 강남 지역에서는 직물업을 위한 뽕나무나 면화를 재배하여 수입을 올리는 농가도 늘어났다.     조선에서도 모내기법이 전국으로 확대되고, 시장에 내다 팔기 위한 쌀·면화·채소·담배·인삼 등의 재배가 확대되었다. 일본에서는..
[동아시아사] 동서양의 문물 교류 동서양의 문물 교류   명 말, 청 초 이후 선교사의 활동     16세기 말 이후 서양 선교사들은 크리스트교를 포교하기 위해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로 건너왔다. 명 대 최초의 선교사는 1582년 마카오에 도착한 예수회 출신의 마테오 리치였다. 그는 세계 지도인 「곤여만국전도」를 제작하였으며, 지구의·해시계·프리즘·자명종 등 서양의 과학 기구를 명에 소개하였다. 또한 포교를 위해 중국의 예절을 배우고 중국식 복장을 하였으며, 유클리드의 『기하원본』을 명의 고관이자 크리스트교도가 된 서광계와 함께 중국어로 번역하였고, 『천주실의』를 한문으로 저술하였다.• 중국 지식인: 천주가 태초에 만물을 창조하고 그것을 변화·발전시킨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습니까? • 서양 선교사: 집은 스스로 세워질 수 없고 언..
[동아시아사] 17~19세기의 동아시아 교역 17~19세기의 동아시아 교역   청의 대외 교역 정책 변화     청은 동남 연해에서 반청 활동을 하던 정성공 세력을 제압하기 위해 선박의 해외 출항을 금지하는 천계령을 시행하여 푸젠·광둥 등지의 연해 지역 주민을 내륙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1683년 타이완을 정복하여 반청 세력을 진압한 청은 천계령을 해제하고, 광저우 등 4개 항을 외국 상인에게 개방하였다.     그러나 청은 서양인과 한인이 결탁하여 반청 운동을 일으킬까 염려하여 1757년에 3개 항구를 폐쇄하고 대외 무역항을 광저우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공행을 설치하여 대외 무역을 독점하게 하였다. 공행은 청의 관원을 대신하여 서양 상인을 감독하였으며, 관세를 징수하여 정부에 납부하였다. 이러한 광둥 무역 체제는 난징 조약을 체결할 때까지 유지되..
[동아시아사] 유럽인의 진출과 동아시아의 은 유통 확대 유럽인의 진출과 동아시아의 은 유통 확대   유럽인의 아시아 진출과 교역망의 확대     신항로 개척 이후 유럽 상인들이 동남아시아에 본격적으로 몰려들었다. 14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는 유럽과 인도, 동아시아를 잇는 무역의 요충지로 떠올랐다. 유럽인은 향신료를 얻기 위해 아시아에 진출하였다. 특히 말레이반도에 있는 믈라카는 해상 교통로의 요충지였다. 포르투갈은 1511년에 이곳을 점령하고 호이안과 마카오를 거쳐 나가사키에 진출하여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향신료 무역을 독점하였다. 명의 상인도 이곳으로 건너와 차, 비단, 도자기 등을 판매하였다. 이로써 유럽과 동아시아를 연결하는 국제적인 교역망이 형성되었다.     에스파냐인도 동남아시아에 진출하였다. 이들은 1571년에 필리핀을 점령하고 무역 기지를 건설하..
[국가기념일] 현충일(6월 6일), 현충일 유래와 의미 현충일(顯忠日) 6월 6일   현충일(顯忠日)은 국권회복을 위하여 헌신・희생하신 순국선열과 전몰호국용사의 숭고한 애국・애족정신을 기리고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국가기념일로 제정되었습니다. 올해는 제69주년 현충일입니다.    역사     현충일이 1956년 4월 19일, 6・25 참전용사를 비롯해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모든 분들을 추모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의해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고 공휴일로 정하였습니다.     1975년 1월 27일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면서 ‘현충일’로 공식 개칭되었고, 1982년 5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법정기념일에 포함되었습니다.    현충일이 6월 6일인 이유   ..
[동아시아사] 동아시아의 대외 교역 동아시아의 대외 교역   동아시아의 조공 무역과 해금 정책     명이 건국된 후 명과 조선, 일본, 류큐 사이에 조공 무역이 이루어졌다. 명 초 영락제 때부터 시작된 정화의 원정으로 동남아시아는 물론 멀리 아프리카 일부 국가가 명에 조공하기도 하였다. 조공 무역을 통해 명은 주변국을 통제하려고 하였으며, 주변국은 명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고자 하였다. 명은 조공 무역을 지속하기 위해 바다를 통한 사무역을 봉쇄하였다. 이러한 명의 해금 정책으로 자유 무역이 불가능해지자, 은과 동전, 생사와 비단 등의 물품을 구하려는 명과 일본의 상인이 왜구로 가장하여 밀무역에 뛰어들었다. 상인은 물론, 신사층을 비롯한 지방의 유력자도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왜구와 밀무역에 나섰다. 이후 명은 군사력으로 왜구를 적극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