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동아시아사

[동아시아사] 민족 운동의 발전

민족 운동의 발전 

 

썸네일 -민족 운동의 발전
민족 운동의 발전

 

중국의 국민 혁명

     1920년대 이후 동아시아에서는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크게 확산하였다. 1921년 중국 공산당이 창당된 것을 시작으로 일본과 한국에서도 공산당이 조직되었다. 이 무렵 중국 국민당의 쑨원은 중국의 통일과 주권의 보호를 위해 소련의 지원을 받아들였다.

     이를 계기로 중국 공산당은 국민당과의 연합 전선을 제기하고 공산당원이 개인적으로 국민당에 입당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제1차 국·공 합작이 성립되었다(1924). 이후 1925년에 일본계 방직 공장에서 노동자가 피살된 사건을 계기로 일어난 5·30 운동은 전국적인 반제국주의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이를 배경으로 쑨원이 사망한 후 실권을 장악한 장제스는 군벌을 타도하고 중국을 통일하기 위해 북벌을 시작하였다(1926).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 혁명군은 광저우에서 출발하여 북상하여 9개월 만에 창장강 일대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북벌 과정에서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갈등이 깊어졌다. 급기야 장제스는 1927년 4월 공산당 세력을 탄압하고 난징에 국민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로써 제1차 국·공 합작은 붕괴하였다.

     국민 혁명군이 상하이를 점령하자 일본은 거류민 보호를 내세워 제1차 산둥 침략을 감행하였다. 하지만 장제스는 북벌이 우선이라고 판단하고 일본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한 채 반공 체제를 정비한 후 북벌을 재개하였다. 마침내 국민 혁명군이 베이징을 점령함으로써 북벌을 완성하였다(1928).

     국민 정부는 중국의 주도권을 장악한 이후 열강과 맺은 불평등 조약의 개정에 나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국민당의 공격에 밀린 중국 공산당은 산악 지대로 이동하여 혁명 근거지를 마련하고 국민 정부에 저항하였다. 하지만 국민 정부의 탄압이 계속되자 마오쩌둥은 대장정을 감행하였다(1934).

 

북벌의 전개
출처 - MiraeN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과 민족 운동의 발전

     3·1 운동이 각지에서 전개되는 가운데,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은 서울, 연해주, 상하이 등지에서 임시 정부 수립을 선포하였다. 곧바로 여러 개의 임시 정부를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 일본군의 침입으로부터 안전하고 외교 활동이 유리한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공화주의를 표방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선출하고, 연통제와 교통국 등을 통하여 국내외를 연결하는  비밀 행정 조직을 갖추었다. 또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여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고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는 등 외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만주에서는 무장 독립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많은 독립군 부대가 조직되었고, 봉오동과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에 큰 승리를 거두었다. 김원봉이 이끄는 의열단은 일본의 고위 관리를 처단하고 식민 통치 기구를 파괴할 목적으로 여러 차례 의거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김구는 침체에 빠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활력을 넣고자 한인 애국단을 조직하였다. 한인 애국단 단원인 이봉창이 도쿄 의거, 윤봉길이 상하이 의거를 일으켰다. 

     한편 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사상이 확산되면서 민족 운동 세력이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으로 나뉘었다. 민족주의 진영은 주로 경제적·문화적 측면에서 민족의 힘을 키우려는 실력 양성 운동을 전개하였다. 반면에 사회주의 진영은 농민·노동자를 조직화하여 농민·노동 운동을 전개하였다.

     중국에서 제1차 국·공 합작이 이루어지자 한국에서도 민족 운동의 분열을 극복하고자 민족 유일당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단결과 기회주의 배격 등을 강령으로 내세운 신간회가 결성되어(1927) 민족 운동의 통합을 도모하였다. 신간회는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국내외 민족 운동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이 지속되는 가운데 사회주의 진영이 민족주의 진영과의 협동 전선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면서 해소되었다. 이후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은 각자의 방식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 헌법
제1조 대한민국은 대한 인민으로 조직함.
제2조 대한민국의 주권은 대한 인민 전체에 있음.
제4조 대한민국 인민은 일체 평등함.
제5조 대한민국의 입법권은 의정원이, 행정권은 국무원이, 사법권은 법원이 행사함.
- 『대한민국 임시 정부사』 -

 

 

 

 

베트남의 민족 운동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에 저항하는 베트남의 민족 운동은 점차 급진적 형태로 바뀌어 갔다. 1925년 호찌민은 베트남 최초의 사회주의 단체인 베트남 청년 혁명 동지회를 결성하여 사회주의 이념을 널리 퍼뜨렸다. 1927년에는 중국의 북벌에 자극받아 베트남 국민당이 조직되어 중국의 국민 혁명을 베트남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베트남 국민당은 홍강 델타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대하였으나 1930년 무장봉기를 계기로 지도자들이 처형되면서 그 세력이 약화되었다.

     이후 베트남의 민족 운동은 사회주의자들이 주도하였다. 1930년 호찌민이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조직하고 1941년에는 베트남 독립 동맹(베트민)을 결성하였다. 베트남 독립 동맹은 각계각층의 혁명 세력을 규합하여 프랑스 식민 통치 종식과 일본 제국주의 타도를 목표로 활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