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말살 정책
민족 말살 통치
일제는 침략 전쟁을 확대하면서 한국인에게 형식적이나마 자유를 허용하던 기만적인 '문화 통치'의 허울을 벗고 한국인의 민족의식을 말살하여 저항을 잠재우고 침략 전쟁에 본격적으로 동원하고자 하였다. 특히 1936년 조선 총독으로 부임한 미나미는 '일본과 조선이 하나(내선일체)'라고 하거나, '일본인과 한국인의 조상은 같다(일선 동조론).'라고 주장하면서 한국인을 일본인으로 동화시키려는 민족 말살 정책을 시행하였다.
일제는 한국인들을 세뇌하려 일반인은 물론 어린 학생에게까지 '황국 신민 서사'라는 일왕에 대한 충성 맹세문을 억지로 외우게 하였으며, 학교를 비롯한 각종 행사에서 이를 암송하도록 하고, 영화나 라디오 등에도 등장시켰다. 매일 아침마다 일본 궁성을 향해 허리 숙여 절하도록 하였으며(궁성요배), 전국 모든 읍과 면에 일본 왕실의 조상이나 침략 전쟁의 전사자를 신으로 하는 신사를 세우고 참배할 것을 강요하였다. 이를 거부하는 사람은 갖은 방법을 동원해 핍박하였으며, 감옥에 보내기도 하였다. 1941년에는 소학교의 명칭도 '황국 신민 학교'라는 뜻의 국민학교로 바꾸고 황국 신민의 가치관을 주입하는 수신(도덕) 교과를 강화하였다.
이에 더해 1939년 일제는 한국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는 창씨개명을 강요하였다. 이를 거부한 사람은 식량 및 물자 배금에서 제외되었으며, 자녀를 학교에 입학시킬 수도 없었다.
우리 말 금지
일제는 민족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학교와 관공서에서 한국어 사용을 금지하고 일본어만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학교 수업에서 조선어 과목이 사실상 폐지되었고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한글 신문도 폐간되었다. 또한, 일제는 1942년에 조선어 학회 사건을 일으켜 우리말 큰사전 편찬을 준비하고 있던 조선어 학회 회원들을 치안 유지법 위반으로 구속하고 조선어 학회를 해산하였다.
강화된 일상생활 통제
일제는 한국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침략 전쟁에서 한국인의 협력을 강요하기 위해 국민정신 총동원 운동 조선 연맹(1938)을 조직하였다. 연맹의 가장 하부에는 애국반을 조직하였고, 반상회를 통해 일본어 사용, 전쟁을 위한 애국 저금 등의 정책을 홍보하였다.
한편 일제는 형기를 마친 독립운동가라도 재판 없이 구금할 수 있는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공포하여 독립운동을 철저히 감시하고 탄압하였다.
일상적 궁핍에 빠진 한국인들
조선 총독부는 중요 산업 통제법을 바탕으로 지하자원 개발, 가공 공업, 인조 석유 공업 등 주요 업종에 대한 통제 경제를 실시하였다.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지하자원을 약탈하고 새로운 세금을 만들었으며, 위문 금품을 모금하거나 국방헌금을 강요하였다. 또한 공출 제도를 실시하여 놋그릇, 놋대야, 수저, 농기구, 교회와 사찰의 종 등 무기를 만들 수 있는 금속 제품이라면 가리지 않고 빼앗았다. 군량 마련을 위해 산미 증식 계획을 다시 실시하였고(1938), 농가마다 목표량을 정해 미곡 공출제와 식량 배급제를 실시하였다. 일제는 국민정신 총동원 운동(1938)과 국민 총력 운동(1940)을 전개하여 한국인을 일본인화하고 수탈 체제를 강화하였다. 국민정신 총동원 운동이 후방 지원이 성격이 강하였던 데 반해 국민 청력 운동은 직접 전쟁 참여를 독려하여 더 큰 희생을 강요하였고, 조선 총독이 직접 관장하여 생산력 확충 및 증산, 공출 등 한국인에 대한 물질적 수탈을 더욱 강화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간섭하여 소비를 통제하였다. 그 결과 옷감, 음식과 같은 생필품을 구하기가 힘들어졌고, 암거래가 증가하여 물가가 치솟았다.
일제는 전쟁이 진행될수록 식량 배급을 줄였고, 많은 한국인이 풀뿌리나 나무껍질로 끼니를 해결하였다. 일제는 식량 부족 때문에 한국인들이 전쟁에 협조하지 않는다고 여겨 만주에서 비료로 사용되던 콩깻묵을 식용으로 배급하였다. 또한 하루에 죽 한 그릇 먹기 운동, 절미 운동 등을 벌여 한국인의 희생을 강요하였다. 일제의 수탈로 한국인의 생활은 어려워졌으며, 궁핍이 일상화되었다. 하지만 일부 친일파는 군수 물자를 자발적으로 헌납하는 등 전쟁에 적극 협력하였다.
'역사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중국 관내에서 독립운동 전개 (0) | 2024.01.21 |
---|---|
[한국사] 항일 연합 전선의 형성 (0) | 2024.01.20 |
[한국사] 전시 동원 체제와 병참 기지화 정책 (27) | 2024.01.19 |
[한국사] 제2차 세계 대전 (1) | 2024.01.19 |
[한국사] 대중문화 유행 및 문예 활동의 전개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