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한국사

[한국사] 고려 사회의 동요와 무신 정권

무신 정권이 성립하다

 

썸네일 고려사회의 동요와 무신정권
고려 사회의 동요와 무신 정권

 

 

고려 사회의 동요

     성종 이후 국가 체제가 안정되며 여러 세대에 걸쳐 중앙의 고위 관직을 차지한 문벌이 형성되었다. 문벌은 왕실 및 다른 문벌 가문과 폐쇄적으로 혼인 관계를 맺어 권력을 독차지하였고 이들은 특권을 누리며 점차 보수화되었다. 숙종과 예종은 지방 출신 인물을 등용하여 문벌을 견제하기도 하였다. 한편, 여진 정벌이 실패로 끝나면서 정벌에 반대하던 보수적 문벌 세력이 더욱 강해졌다. 

     특히 경원 이씨 가문은 여러 대에 걸쳐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어 권력을 독점하였다. 이자겸 대에 이르러 경원 이씨 가문의 세력은 왕권을 위협할 정도가 되었다. 인종은 측근 세력을 동원하여 이자겸을 공격하였다. 그러자 이자겸은 난을 일으키고 스스로 왕위에 오르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1126). 이 무렵 금이 군신 관계를 요구하자 이자겸 등의 주장에 따라 고려는 금의 요구를 수락하였다. 왕권의 위협을 느낀 인종은 이자겸에 반대하는 문벌 세력의 협조를 얻어 이자겸을 몰아냈다. 

     이자겸의 난으로 왕실의 권위가 떨어지고, 지배층의 분열이 심화되었다. 인종은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기 위해 윤언이 등 자주적 문벌과 묘청, 정지상 등 서경 세력을 중심으로 개혁을 추진하였다. 묘청 등 서경 세력은 풍수지리설을 내세워 서경으로 수도를 옮길 것을 건의하였다. 나아가 황제로 칭하고 연호를 사용하며, 금을 정벌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김부식 등 개경 세력의 반대에 부딪혔다. 결국 인종이 서경 천도를 포기하자 묘청은 나라 이름을 '대위', 연호를 '천개'라 정하고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켰다(1135). 묘청의 난이 김부식이 이끄는 관군에게 진압되면서, 서경 천도 운동은 실패로 끝이 났다. 

 

 

 

 

무신 정권의 수립

     이자겸의 난과 서경 천도 운동 등 혼란으로 무신의 역할은 더욱 커졌고 중앙 지배층은 더욱 보수화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정치는 일부 문벌과 문신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무신은 문신에 비해 낮은 대우를 받았다. 의종도 측근 세력과 향락에 빠져 있었다. 이에 불만을 품은 정중부와 이의방 등 무신 세력은 무신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잡았다(1170).

     무신 정권 초기에는 최고 회의 기구가 된 중방을 중심으로 권력을 행사하였다. 이 시기 무신과 문신의 관직을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한 문무 겸직제를 시행하여 무신이 재신과 추신이 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내부 권력 다툼으로 집권자가 자주 바뀌는 등 정국이 혼란하였으나, 최충헌이 권력을 잡으며 점차 안정되었다. 최충헌은 집권 초기에는 개혁안을 제시하고 혼란을 극복하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정권 유지에 주력하였다. 최고 집권 기구로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력을 독점하였고, 사병 기구였던 도방을 확대하여 신변을 보호하였다. 최충헌의 아들 최우는 정방을 자신의 집에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고 또한 서방을 두어 능력있는 문신들의 자문을 얻었다. 삼별초를 조직하여 군사적 기반을 다져 치안을 안정시키고 정권을 보호하게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씨 정권은 4대에 걸쳐 60여 년간 지속되었다. 

 

 

 

 

농민과 하층민의 봉기

     무신 정변 이후 일어난 권력 투쟁으로 정부의 지방 통제력은 약화되었으며 정권을 잡은 무신들은 토지를 약탈하고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였다. 

     이에 특수 행정 구역인 공주 명학소에서는 망이・망소이가, 경상도 지역에서는 운문의 김사미와 초전의 효심이 봉기하는 등 전국 곳곳에서 농민과 하층민의 봉기가 잇따랐다. 

     한편 무신 정변 이후 천인 출신 권력자가 등장하며 신분 질서가 흔들렸다. 이에 신분 차별에 저항하여 전주의 관노비가 봉기하였으며, 최충헌의 사노비인 만적도 개경에서 봉기를 계획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