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한국사

[국가상징] 애국가 | 애국가의 내력 알아보기

애국가

     애국가(愛國歌)는 대한민국의 국가(國歌)입니다. 애국가라는 단어의 의미는 말 그대로 '나라를 사랑하는 노래'를 뜻합니다. 우리나라는 애국가에 달리 이름을 붙이지 않고 이를 국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썸네일 - 대한민국 국가상징 : 애국가
대한민국 국가상징 - 애국가

 

애국가의 내력

    애국가라는 이름으로 노랫말과 곡조가 붙여져 나타난 것은 조선말 개화기 이후부터입니다. 우리나라의 애국가는 여러 종류가 있었습니다. 갑오경장 이후 각종 애국가가 널리 불리기 시작하여 1896년 무렵에 각 지방에서 불린 애국가만도 10여 종류에 이릅니다. 세계 열강에 문호를 개방하고 새로운 문물에 접하게 됨에 따라 개화에 눈을 뜨게 되었고, 애국애족의 사상과 더불어 내용이 각각 다른 애국가가 도처에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불리고 있는 애국가의 노랫말은 외세의 침략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해 있던 1907년을 전후하여 조국애와 충성심, 그리고 자주 의식을 북돋우기위해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그 후 여러 선각자의 손을 거쳐 오늘날과 같은 내용을 담게 되었는데, 이 노랫말에 붙여진 곡조는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이었습니다.  

     해외에서 활동 중이던 안익태는 애국가에 남의 나라 곡을 붙여 부르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1935년에 오늘날 우리가 부르고 있는 애국가를 작곡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 곡을 애국가로 채택해 허용했으나 이는 해외에서만 퍼져 나갔을 뿐, 국내에서는 광복 이후 정부 수립 무렵까지 여전히 스코틀랜드 민요에 맞춰 부르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현재의 노랫말과 함께 안익태가 작곡한 곡조의 애국가가 정부의 공식 행사에 사용되고 각급 학교의 교과서에도 실리면서 전국적으로 애창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후 해외에서도 이 애국가가 널리 전파되어 실질적인 국가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애국가

      애국가는 2010년 국민의례 규정에서 국민의례시 애국가를 부르거나 연주하도록 함으로써 국가로서의 역할을 간접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작사 

 

     애국가의 가사는 1900년대 초에 쓰여졌습니다. 작사자는 크게 윤치호라는 설과 안창호라는 설, 윤치호와 최병헌 합작설 등이 있으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인 입장으로는 미상입니다.

     윤치호(尹致昊)가 지었다는 설이 가장 신빙성이 있습니다. 1945년에 자필로 애국가 가사를 적고 '1907년 윤치호 작'이라 명기한 애국가 친필본은 1997년 유족의 기증으로 현재까지 미국 에모리대에 보관 중인데, 여기에는 '1945년 9월 아버지께서 친히 써 주신 것'이라는 딸의 기록도 적혀 있습니다.

 

윤치호가 쓴 애국가 필사본
1945년 7월경 윤치호가 셋째 딸 윤문희에게 전해준 애국가 필사본 : 출처 - 경향신문

 

 

     상하이 임시정부시절 애국가 작사자가 누구인지를 묻는 동지에게 김구 선생은

우리가 3・1운동을 태극기와 애국가로 싸웠는데, 누가 지었는지가 왜 문제인가?

 

라며 애국가 안에 담긴 정신이 더 중요하다고 했다고 합니다.  

 

 

 

 작곡 

 

     애국가의 작곡은 안익태(安益泰)가 1935년 11월 사장조로 된 새 가락을 작곡하였습니다.

     애국가의 저작권은 애국가를 작곡한 안익태 선생의 부인 롤리타 안 여사 등 유족이 2005년 애국가 저작권을 한국민에게 무상 양도하겠다는 기증서를 전달하여 애국가는 영원히 한국 국민의 것이 되었습니다. 유족들은 기증서에

애국가가 한국 국민의 가슴에 영원히 불리기를 소망하며 고인이 사랑했던 조국에 이 곡을 기증합니다.

 

라고 적었습니다. 

 

 

 

 

애국가 가사

   

 

 한자 혼용 

 

東海물과 白頭山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保佑하사 우리나라 萬歲

無窮花 三千里 華麗江山 大韓사람 大韓으로 길이 保全하세

南山 위에 저 소나무 鐵甲을 두른 듯 바람 서리 不變함은 우리 氣像일세

無窮花 三千里 華麗江山 大韓사람 大韓으로 길이 保全하세

가을 하늘 空豁한데 높고 구름 없이 밝은 달은 우리 가슴 一片丹心일세

無窮花 三千里 華麗江山 大韓사람 大韓으로 길이 保全하세

이 氣像과 이 맘으로 忠誠을 다하여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無窮花 三千里 華麗江山 大韓사람 大韓으로 길이 保全하세 

   

 

 한글 

 

1

동해 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 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3

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 없이 밝은 달은 우리 가슴 일편단심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4

이 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애국가 악보

 

애국가 악보
출처 - 행정안전부

 

 

 

 

애국가 제창 및 연주

- 애국가를 부를 때에는 경건한 마음을 가져야 하며, 애국가의 곡조에 다른 가사를 붙여 부르거나 곡조를 변경하여 불러서는 안 됩니다.

- 주요 행사 등에서 애국가를 제창하는 경우에는 애국심과 국민적 단결심을 고취하는 의미에서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4절까지 제창하여야 합니다.

- 애국가는 모두 함께 부르는 경우에는 전주곡을 연주하지만, 약식 절차로 국민의례를 행할 때 국기에 대한 경례 시 연주되는 애국가와 같이 애국가를 부르지 않고 연주만 하는 의전행사(외국에서 하는 경우 포함)나 시상식·공연 등에서는 전주곡을 연주해서는 안됩니다.

- 애국가가 연주될 때에는 일어서서 경청하는 것이 예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