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개항과 민족 운동 (1)
아편 전쟁과 중국의 개항
청은 18세기 중반 이후 광저우에서 특허 상인인 공행을 통한 무역만 허용하는 제도를 유지하였다. 당시 막대한 양의 은을 지급하며 중국의 차, 비단 등의 물품을 수입하던 영국은 여려 차례 사절을 파견하여 자유 무역을 요구하였지만, 모두 거절당하였다. 이에 영국은 공행 무역에 따른 대청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식민지 인도에서 생산한 아편을 청에 밀수출하였다.
청은 아편 밀수가 증가하여 청에서 많은 양의 은이 영국으로 유출되고 아편 중독자가 늘어나는 등 심각한 사회적・경제적 위기가 깊어지자, 임칙서를 광저우에 파견하여 아편을 몰수하고 영국 상인의 무역을 금지하는 등 강경한 조치를 하였다. 청과의 무역 확대를 꾀하던 영국은 이를 구실로 대규모 병력을 보내 아편 전쟁을 일으켰다(1840~1842). 전쟁에 패한 청은 상하이를 비롯한 5개 항구 개항, 홍콩 할양, 공행 폐지 등을 규정한 난징 조약을 체결하고 이후 추가 조약을 통해 최혜국 대우, 영사 재판권 등을 인정하였다.
이후에도 중국으로의 수출이 늘지 않자 영국은 애로호 사건을 명분으로 제2차 아편 전쟁을 일으켰다(1856). 프랑스도 선교사 피살을 빌미로 영국 측에 가담하였다. 전쟁에 패한 청은 외국 공사의 베이징 주재, 크리스트교 선교의 자유 인정, 톈진 등 추가 개항, 주룽반도 일부 할양 등을 규정한 톈진 조약과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였다. 조약을 중재한 대가로 러시아는 청으로부터 연해주를 얻었다. 아편 전쟁의 결과 청은 서양 열강 중심의 국제 질서에 강제 편입되었고, 이는 청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 질서가 변하는 계기가 되었다.
태평천국 운동
19세기에 급속하게 쇠퇴하던 청은 아편 전쟁 이후 귄위가 크게 손상되었고, 청 정부가 전쟁 배상금을 마련하기 위해 세금을 인상하자 농민들의 생활이 궁핍해져 수많은 반란이 일어났다. 이를 배경으로 홍수전이 크리스트교의 영향을 받아 상제회를 조직하고, 유교 이념 및 만주족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멸만흥한(만주족 정권 타도)'을 내세워 태평천국을 건설하였다(1851). 그는 천조전무 제도에 의한 토지의 균등 분배와 남녀평등을 내세우고, 변발과 전족의 금지 등을 주장하여 민중의 지지를 받았다. 난징에 도읍한 태평천국은 한때 베이징을 위협할 정도로 크게 세력을 떨쳤다.
그러나 태평천국군은 내부 분열과 한족 관료・신사가 조직한 향용의 공격으로 약화되었다. 게다가 베이징 조약으로 각종 이권을 얻은 서양 세력이 청군을 지지하면서 점차 수세에 몰리게 되었고 홍수전 사후 태평천국은 붕괴되었다(1864).
양무운동
청은 아편 전쟁과 태평천국 운동을 겪으면서 중국인들은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서양의 군사학과 과학기술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특히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총리아문이 개설되면서 양무운동(자강 운동)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태평천국군 진압에 공을 세운 증국번, 이홍장 등의 한족 출신 고위 지방관이 주도하였으며 중체서용을 바탕으로 전개되었다.
이들은 군수 공장을 건설하고 근대적 육군과 해군을 창설하였으며, 근대 회사를 설립하고 광산 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신식 학교를 세우고 유학생을 외국에 파견하였고 기선회사, 방직 공장 등 민영 기업의 운영을 통한 경제 발전에도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양무운동은 의식이나 제도 개혁 없이 서양의 기술만을 도입하려 하였고, 중앙 정부의 체계적인 계획 없이 개별적으로 추진되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기업 경영은 관료가 주도하였고, '중국의 전통적 가치를 바탕으로 삼고 서양의 기술만 받아들이겠다.'라고 한 중체서용론이 한계로 작용하였다. 결국 청・일 전쟁(1894~1895)에서 패하면서 이러한 한계점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변법자강 운동
청은 청・일 전쟁에서 패하여 일본에 타이완을 할양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급하게되자 커다란 충격을 받았다. 더욱이 중국을 둘러싼 열강의 이권 쟁탈이 심해지자, 중국인의 위기의식은 더욱 고조되었다. 이에 단순히 서양 기술만을 모방하였던 양무운동에서 벗어나 입헌 군주제를 도입하는 등 국민 국가 건설에 필요한 근본적인 개혁을 추진하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었다. 캉유웨이와 량치차오 등 개혁적 성향의 지식인들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떠 입헌 군주제를 도입하는 등 정치 제도를 개혁하려 하였다.
캉유웨이는 다음과 같은 상소문을 올렸다.
일본 유신의 발단을 살펴보니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여러 신하에게 구습을 고칠 목적으로 여론을 모아 각국의 좋은 법 도입을 약속한 것, 둘째 조정에 제도국을 신설하고 인재를 발탁하여 정치 요건과 제도를 쇄신한 것, 셋째 천하의 인사들에 상서를 허용하고 국왕이 이를 열람하여 적절한 방안을 제출한 자는 제도국에 소속시킨 것입니다.
- 『캉유웨이 전집』 (1898) -
이들은 광서제의 신임을 얻어 과거제 개혁, 신교육 실시, 상공업 육성 등 행정, 교육, 경제, 법률 등의 방면에서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였는데(무술개혁, 1898), 이를 변법자강 운동이라 한다. 그러나 이들이 노력은 서태후 등의 보수파의 반격으로 좌절되었고, 광서제도 유폐되어(무술정변) 100여 일 만에 끝나고 말았다.
'역사 >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사] 일본과 조선의 근대화 운동 (1) | 2024.03.21 |
---|---|
[세계사] 중국의 개항과 민족 운동 (2) (1) | 2024.03.21 |
[세계사] 제국주의의 등장과 식민지 분할 (1) | 2024.03.19 |
[세계사] 산업 혁명과 산업 사회의 형성 (2) | 2024.03.18 |
[세계사] 국민 국가의 발전(2) (3) | 202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