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세계사

[세계사] 무굴 제국의 발전과 인도・이슬람 문화

무굴 제국의 발전과 인도・이슬람 문화 

 

썸네일 무굴 제국의 발전과 인도・이슬람 문화
무굴 제국의 발전과 인도・이슬람 문화

 

 

 

무굴 제국의 성립과 발전

     16세기 초에 티무르의 후손으로 알려진 바부르가 아프가니스탄 지방을 점령하고 북인도 지역으로 진출하였다. 그는 북인도 지역을 장악한 뒤 델리 술탄 왕조를 무너뜨리고 델리를 중심으로 이슬람 왕조인 무굴 제국을 수립하였다(1526).

     무굴 제국은 바부르의 손자 아크바르 황제 때 크게 발전하였다. 아크바르는 데칸고원 이남을 제외한 인도 대부분을 통일하여 대제국을 건설하고 아그라를 수도로 삼았다. 그는 관료제와 지방 행정 기구를 정비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황제의 명령이 지방에까지 골고루 미치도록 하였다. 또한 힌두교도를 이슬람교도와 차별 없이 관료로 임명하였으며, 다른 종교 신자에게 부과하는 지즈야(인두세)를 폐지하였다. 또한 공평하고 효과적인 토지 개혁을 통해 농업 생산량을 늘리고 농민들에게 돈을 빌려주는 제도를 마련하는 등 농민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아크바르 자신도 토착 힌두교도와 결혼하여 힌두 세력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중앙 집권화 정책과 관용적인 종교 정책은 이후 무굴 제국이 크게 번영하는 토대가 되었다. 이를 힘입어 무굴 제국은 약 1세기 동안 번영을 누렸다.

 

무굴제국의 발전 지도
출처 - MiraeN 고등학교 세계사

 

     17세기 후반에 아우랑제브 황제는 데칸고원을 넘어 인도 남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무굴 제국 최대의 영토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잦은 정복 활동으로 재정낮에 부딪혔다. 더구나 이슬람 제일주의를 바탕으로 힌두교 사원을 파괴하고 지즈야를 부활시키는 등 이교도 탄압을 강화하여 힌두교도의 반발을 샀다. 이에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는데, 이 시기 가장 강력한 반란 세력은 북서부의 힌두 세력인 라지푸트족이었다. 아크바르 대제가 정략 결혼하면서까지 포용했던 라지푸트족이 아우랑제브 시기에는 제국의 가장 강력한 적대 세력이 된 것이다. 또한 북부 펀자브 지방의 시크교도와 중부 인도의 힌두교도인 마라타 왕국의 반란도 제국을 크게 위협하였다. 특히 마라타 왕국은 마라타 동맹으로 이어져 무굴 제국에 대한 저항을 계속하였다. 여기에 후계 계승 분쟁과 각 지방의 토호의 저항이 겹쳤고, 이러한 상황을 틈타 영국과 프랑스가 인도의 동서 해안 지방으로 침투하여 세력을 확장하면서 무굴 제국은 더욱 쇠퇴하였다.

 

 

 

무굴 제국의 경제

     무굴 제국 시기의 인도는 농업과 상공업이 발달하여 경제적으로 번영하였다. 내룩에 시장과 도시가 성장하여 델리, 아그라 등 인구 20만 명이 넘는 대도시가 곳곳에 등장하였다. 대외 교역도 활발히 이루어져 해안 지역에서는 무역항이 발달하였다. 무굴 제국은 중국, 동남아시아와 아라비아, 지중해를 연결하는 인도양 무역을 주도하였다. 특히 직물 생산이 발달하여 수출품으로 인기를 끌었는데, 대표적인 수출품인 향신료와 함께 면직물과 견직물 등 직물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5세기 말부터 포르투갈 상인들이 인도양 무역에 진출한 이후 이슬람 상인과 인도의 힌두 상인들은 무역의 주도권을 유럽 상인들에게 빼앗기기 시작하였다. 17세기 이후에는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상인들이 향신료를 찾아 인도양 무역에 진출하여 세력 다툼을 벌이면서 점차 이들이 무역의 주도권을 장악하여 무굴 제국의 경제는 점차 침체되었다.

 

 

 

 

 

인도・이슬람 문화의 발전

     델리 술탄 왕조와 무굴 제국의 지배를 거치면서 인도에는 아랍의 전통과 페르시아 문화, 튀르크인의 풍습이 확산하였다. 이를 배경으로 전통적인 인도 문화와 이슬람 문화가 융합된 인도·이슬람 문화가 발전하였는데, 이러한 특징은 종교나 언어, 예술 등에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향은 무굴 제국 시기에도 계속되었다.

     무굴 제국 시기에 공식 문서나 외교 용어로는 페르시아어가 사용되었지만, 일상에서는 힌두어와 페르시아어, 아랍어가 합쳐진 우르두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종교에서는 힌두교와 이슬람교를 융합하여 성립된 시크교가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시크교는 우상 숭배와 카스트제의 신분 차별을 반대하며 유일신에 대한 믿음과 인간 평등을 주장하였다. 회화에서는 전통적인 인도 양식과 페르시아의 세밀화가 조화를 이룬 무굴 회화가 발달하였다. 무굴 제국에서 발달한 화려한 궁정 문화는 무굴 회화의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건축에서는 인도와 이슬람 문화의 융합을 보여 주는 왕궁과 성, 모스크 등이 많이 만들어졌다. 이슬람의 아라베스크 무늬에 인도의 연꽃무늬나 만자 무늬를 곁들인 양식이 발달하여 타지마할과 같은 대표적 건축물이 탄생하였다.